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해군을 지휘·감독하는 직책이다. 역대 해군참모총장으로는 손원일, 박옥규, 정긍모, 이용운, 이성호, 이맹기, 함명수, 김영관, 장지수, 김규섭, 황정연, 김종곤, 이은수, 오경환, 최상화, 김종호, 김종호, 김철우, 김홍렬, 안병태, 유삼남, 이수용, 장정길, 문정일, 남해일, 송영무, 정옥근, 김성찬, 최윤희, 황기철, 정호섭, 엄현성, 심승섭, 부석종, 김정수, 이종호, 양용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준장 - 박양원
황해도 해주 출신인 박양원은 해군 장교와 의사, 교육자로 활동하며 해군본부 의무감, 해군병원 원장, 보건사회부 의정국장을 거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경희의료원장, 경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해군 소장 - 허대범
허대범은 해군 소장 출신으로 대한민국해군 전우회 회장, 국회의원, 진해시장 후보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해군 소장 - 김상길 (1926년)
김상길은 1926년 대구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 학생 비밀 결사 태극단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했고, 해군 소장으로 예편 후 대구시장 직무대행, 한국국민당 전임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고 2018년 별세하여 국립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대한민국 해군 중장 - 윤광웅
해군사관학교 출신으로 해군 주요 보직을 거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윤광웅은 노무현 정부에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추진했으나 연천군부대 총기난사 사건과 북한 핵실험으로 논란을 겪고 사임 후 대한민국해양연맹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재임 시절 국군기무사령부의 불법 도청 사실이 드러났다. - 대한민국 해군 중장 - 정원민
정원민은 대한민국 해군 제독 출신으로, 민주정의당 안보외교연구실장, 대한석탄공사 사장을 역임했으며, 해군 중장으로 예편 후 국회의원을 지냈다.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해군참모총장 |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로마자 표기 | Daehanminguk Haegun Chammotongjang |
약칭 | CNO |
구성원 | 합동참모본부 |
보고 대상 | 합동참모의장 |
임명권자 | 대통령 |
초대 총장 | 손원일 해군 중장 |
현직 총장 | 양용모 해군 대장 |
현직 총장 취임일 | 2023년 11월 7일 |
관저 | 계룡대 공관, 대방동 공관 |
역할 및 권한 | |
지휘 기관 | 국방부 |
역사 | |
기타 |
2. 역할
국군조직법 제10조 제2항에 따르면, "각 군 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각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감독은 제외한다."[1]
대한민국의 역대 해군참모총장은 다음과 같다.
3. 역대 해군참모총장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임기 비고 제1공화국 초대 -- 손원일 중장 1948년 9월 5일 ~ 1953년 6월 30일 국방부 장관 역임 2대 박옥규 중장 1953년 6월 30일 ~ 1954년 11월 1일 3대 정긍모 중장 1954년 11월 1일 ~ 1959년 2월 23일 4대 이용운 중장 1959년 2월 23일 ~ 1960년 9월 28일 제2공화국 5대 이성호 중장 1960년 9월 28일 ~ 1962년 9월 28일 6대 이맹기 중장 1962년 9월 28일 ~ 1964년 9월 10일 rowspan=2 | 제3공화국 7대 함명수 중장 1964년 9월 10일 ~ 1966년 9월 1일 8대 김영관 대장 1966년 9월 1일 ~ 1969년 4월 1일 9대 장지수 대장 1969년 4월 1일 ~ 1972년 4월 1일 10대 김규섭 대장 1972년 4월 1일 ~ 1974년 2월 28일 rowspan=2 | 제4공화국 11대 황정연 대장 1974년 2월 28일 ~ 1979년 4월 17일 12대 김종곤 대장 1979년 4월 17일 ~ 1981년 5월 14일 제5공화국 13대 이은수 대장 1981년 5월 14일 ~ 1982년 12월 28일 14대 오경환 대장 1982년 12월 28일 ~ 1984년 9월 4일 15대 최상화 대장 1984년 9월 4일 ~ 1987년 9월 4일 16대 김종호 대장 1987년 9월 4일 ~ 1989년 9월 4일 rowspan=2 | 노태우 정부 17대 김종호 대장 1989년 9월 4일 ~ 1991년 9월 4일 퇴임 이후 수뢰 사실 확인[8] 18대 김철우 대장 1991년 9월 4일 ~ 1993년 5월 26일 김영삼 정부 19대 김홍렬 대장 1993년 5월 26일 ~ 1995년 4월 1일 20대 안병태 대장 1995년 4월 1일 ~ 1997년 4월 1일 21대 유삼남 대장 1997년 4월 1일 ~ 1999년 4월 1일 김대중 정부 22대 이수용 대장 1999년 4월 1일 ~ 2001년 3월 31일 23대 장정길 대장 2001년 4월 1일 ~ 2003년 3월 31일 노무현 정부 24대 문정일 대장 2003년 4월 1일 ~ 2005년 3월 29일 25대 남해일 대장 2005년 3월 29일 ~ 2006년 11월 17일 26대 송영무 대장 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 국방부 장관 역임 이명박 정부 27대 정옥근 대장 2008년 3월 20일 ~ 2010년 3월 19일 28대 김성찬 대장 2010년 3월 19일 ~ 2011년 10월 17일 29대 최윤희 대장 2011년 10월 17일 ~ 2013년 9월 28일 합동참모의장 역임 박근혜 정부 30대 황기철 대장 2013년 9월 28일 ~ 2015년 2월 27일 31대 정호섭 대장 2015년 2월 27일 ~ 2016년 9월 22일 32대 엄현성 대장 2016년 9월 22일 ~ 2018년 7월 19일 rowspan=2 | 문재인 정부 33대 심승섭 대장 2018년 7월 19일 ~ 2020년 4월 10일 34대 부석종 대장 2020년 4월 10일 ~ 2021년 12월 16일 35대 김정수 대장 2021년 12월 16일 ~ 2022년 5월 27일 윤석열 정부 36대 이종호 대장 2022년 5월 27일 ~ 2023년 10월 30일 37대 양용모 대장 2023년 10월 30일 ~
3. 1. 남조선해사대장 (1945.08.21 ~ 1946.01.14)
정부 | 대수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
미군정 | 초대 | ![]() | 손원일 | 없음 | 1945년 8월 21일 ~ 1945년 11월 11일 |
해사대(후에 조선해사보국단과 통합하여 해사협회가 됨) 시대.[8]
3. 2. 해방병단사령관 (1946.01.15 ~ 1946.06.14)
손원일은 미군정 시기 초대 해방병단사령관을 역임했다. 임기는 1946년 1월 15일부터 1946년 6월 14일까지였다.
정부 | 대수 | 사진 | 성명 | 계급 | 임기 |
---|---|---|---|---|---|
미군정 | 초대 | 손원일 | 무(無) | 1946년 1월 15일 ~ 1946년 6월 14일 |